병원에서 목이나 허리의 디스크(=추간판 탈출증) 진단을 받은 사람들은 물리치료실에서 견인치료를 받아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견인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견인치료란 '잡아 늘이거나 끌어당기는 과정'을 말합니다. 견인의 힘으로 척추를 잡아당기거나 끌어당길 때 이것을 척추 견인이라고 합니다.
1. 견인치료의 효과
견인치료는 주로 경추나 요추의 추간판 탈출증에 많이 쓰이는 보존적인 치료방법입니다. 이 치료의 효과는 추간판 공간을 넓히고, 추간판 핵돌출을 편평하게 하고, 척추 근육의 신장을 촉진하고, 추간판 돌출과 추간판 내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척추 뒤세로인대를 팽팽하게 하여 섬유테에 구심력을 가하며, 척추 근육을 신장시키고, 척추의 만곡을 곧게 신장시키며, 후관절의 활주를 증진시킵니다.
2. 견인의 적용
견인을 적용할 척추의 위치를 잘 고정하고, 견인력은 경추의 경우 마찰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전체 체중의 7% 무게로 적용합니다. 경추 견인은 앉은 자세나 누운 자세에서 둘다 가능하지만 주로 앉은 자세에서 많이 시행합니다. 요추의 경우 최소한의 마찰력을 제거하고 기계적인 분리를 일으키는데 필요한 힘은 체중의 50% 정도입니다. 처음 시도할 경우 체중의 30% 정도부터 시작합니다. 요추는 누워서 실시하고 양쪽 무릎을 굴곡시킨 후 적용합니다. 적용의 종류는 지속 견인과 연속이나 장시간 견인, 그리고 간헐적 견인이 있습니다. 지속 견인은 수분에서 30분에 이르기까지 지속하는 것이고, 연속이나 장시간 견인은 몇 시간에서 며칠 동안 지속되는 정적 견인으로 침대에서 적용하는 것입니다. 간헐적 견인은 견인력이 적용되었다가 제거되는 것이 교대로 리듬 있는 패턴으로 적용하는 것입니다.
3. 견인의 적응증과 금기사항
견인의 적응증은 먼저 척수 신경근 충돌 질환들입니다. 수핵 탈출증, 인대침해, 척추 분리증, 부종과 척추 전위증으로 인한 척추와 추공의 협착증 등이 이에 포함됩니다. 두 번째로 기능장애와 퇴행성 변화로부터 관절의 저운동성으로 발생하는 질환들입니다. 운동범위 제한이 있을 때에 견인의 종적인 힘으로후관절 표면의 활주를 일으키기 때문에 관절을 움직이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퇴화하는 관절은 주의 깊게 적용해야 합니다. 너무 과도한 움직임은 오히려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견인의 금기사항은 척추 이상이나 질환이 진행성일 경우 하지 말아야 합니다. 처음 견인 치료로 인해 염증, 염좌, 급성 좌상, 어떠한 통증 증세가 증가된다면 견인은 피해야 합니다. 또한, 척추 과운동이 일어난 부위에 신장력은 금기입니다. 경추 류마티스성 관절염, 지지 인대의 괴사 가능성으로 인해 불안정성과 척추손상을 줄 수 있는 아탈구와 탈구가 있는 경우 금지해야 합니다. 척추 악성종양, 골다공증, 종양이나 감염 등 구조적 안정성이 손상받는 조건에서도 금기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임산부나 조절이 어려운 고혈압, 동맥류, 심한 출혈, 복부 헤르니아, 심혈관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금기해야 합니다.
'물리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재활치료의 필요성과 프로그램 (0) | 2022.11.10 |
---|---|
고주파심부투열치료의 정의와 효과 (0) | 2022.11.09 |
신경지배근의 특성과 전기자극치료의 효과 (0) | 2022.11.06 |
탈신경근의 특성과 전기자극치료의 효과 (0) | 2022.11.04 |
이온도입치료의 물리적, 생리학적 특성 (0) | 2022.11.02 |